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상담기법(1)

by 예스빈 2022. 7. 13.
반응형

인간중심 상담이론에서는 대인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는 내담자의 문제와 고민을 치료하고 성장, 촉진하도록 도와준다.

인간중심 상담이론에서 중요한 12가지 상담 관계는 다음과 같다(김충기, 2000).

 

- 개인 내담자가 도움을 받으려고 상담실에 방문한다.

- 상담이라는 상황을 언제나 정의한다.

- 상담자를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에 관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받아주고, 이해하고, 요약해준다.

- 개인이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다 표현한 후에 생기는 약하고 일시적이고 긍정적인 감정과 충동은 성격 성장에 도움이 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약하고 일시적인 긍정적 감정을 감지하고 받아들인다.

- 전체 상담 과정에서 자기 이해와 자기 수용은 중요한 측면들이다.

-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 관계는 서로 배타적이거나 엄격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지 않아야 하고, 가능한 결정과 행동 가정들을 분명하게 하는 과정들이다.

- 내담자는 중요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기 시작한다.

- 내담자는 자기 행동을 더 깊게 볼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되면서 더 완전하고 정확하게 자기의 상태를 이해하게 된다.

- 내담자는 통합적, 적극적인 행동을 시작한다. 내담자는 스스로 의사 결정하기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며 스스로 결정하려는 성향이 더 강해진다. 상담자에게서 도움을 받을 필요성을 덜 느끼게 되며 상담치요 관계를 끝마치겠다고 결심한다.

 

핵심 상담기법

1) '지금 여기’(Now & Here)의 중요성

상담자와 내담자가 관계 속에서 경험하고 표현할 때 지금 여기 'Now & Here' 자기 생각과 감정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예컨대 지금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지금 어떤 느낌이 드나요? 와 같은 질문을 하며 지금 여기에서의 경험에 대해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의 경험, 사건 또는 역사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과거의 문제를 현재로 옮겨와서 내담자의 현재에 충실하여 생생한 체험을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 상담자가 상담할 때 내담자의 모든 문제를 지금 여기 현재로 가져와서 다루는 지금 여기의 즉시성이 매우 중요하다.

 

2) 적극적으로 경청

로저스가 제안한 것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할 때 적극적으로 청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잘 이해하려면 내담자가 말하고 표현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온몸으로 집중하여 경청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적극적인 경청을 위하여 비판적 · 충고 적인 태도를 버리고 내담자가 이야기하는 의미 전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담자가 표현한 내용과 관련해서 상담자는 표정이나 행동반응으로 나타내서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야 한다. 내담자는 상담자가 적극적으로 경청한다는 것을 느낄 때 자기표현을 좀 더 잘하게 되고,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게 된다. 따라서 상담자는 인간중심 상담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적극적인 경청 태도를 익혀야 한다.

 

3) 공감적으로 이해

상담 초기에 내담자가 느낄 수 있는 방식으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한다고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 상담자가 내담자의 관심과 문제에 온전히 집중해야 한다. 내담자는 상담자의 표정이나 자세에도 관심을 갖고 자기 말에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 알게 된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내담자와 눈 맞춤을 하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 진솔하게 내담자의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상담자가 내담자와 공감적 이해가 정확하지 않을 때는 내담자에게 질문을 하여 상담자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탐색해 볼 수 있다. 예컨대, “제가 이해하기로... 당신은... 이런 문제를 어렵게 생각하고 있네요.”라는 질문을 해서 내담자와 공감적 이해가 되고 있다는 것을 내담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합리적 정서·행동 상담이론

 

현대 인지행동 접근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합리적 정서·행동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TB 상담이로으 앨버트 에리스 Albert Ellis

Ellis (1913~2007)1955년에 개발한 상담 이론으로, 인지적 요인을 강조한 최초의 상 담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RETB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행동주의 상담이론이 유행하던 시대에 인지적 요인을 강조하여 인지행동 상담이론으로 발전하였다. 인간의 인지와 감정 및 행동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인지가 핵심 역할을 하여 잘못된 사고를 바꿔서 행동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한다.

RETB에서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매개하는 신념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합리적인 이성을 기초로 하여 부적응적인 정서와 행동이 개선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내담자의 문제에 따라 비합리적인 신념을 합리적인 신념으로 바꿀 수 있는 다양한 인지, 감정, 행동적 기법을 적용한다. , REBT의 핵심은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시키는 데 있다.

엘리스(1986)는 각자의 목표가 무엇이든 그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생각은 합리적인 생각이고, 방해되는 생각은 비합리적 생각이라고 여겼다. 보통 어렸을 때 부모나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아 비합리적인 사고를 하게 되는데 이를 계속 유지해 나가는 비합리적인 생각이나 신념 11가지는 다음과 같다(Ellis, 1962 Patterson, 1973), 엘리스(1962)는 이런 비합리적인 사고방식을 지닌 사람들은 과도하게 불안하거나, 누구를 원망하거나, 죄책감에 사로잡히는 등의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늘 방어적 태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따라서 이런 심리적인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적인 생각으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그인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비합리적인 생각을 찾아내어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생각으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반응형

댓글